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52

전기 기자재 선정 기준 정리 전기 기자재의 선정 기준 - Selection guide of electrical equipments에 대하여 생각해 보겠습니다. 이 내용은 제가 한국 플랜트 협회에서 대학생을 대상으로 강의한 내용을 정리한 것입니다. 따라서 전기 기자재의 공통적인 사양 기준에 대하여 설명하는 것입니다. 전기 기자재 - TRANSFORMER, SWGR, GIS, MCC, VSD etc. -를 선정할 때의 기준점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회사에서 업무 할 때는 당연한 이야기이기 때문에 기계적으로 적용하지만 가끔 이것을 놓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누구나 한 번쯤은 이런 기준을 한 번 더 생각하고 내가 적정한 기기를 선정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검토할 필요가 있습니다. ​ 1. 첫 번째 기준은 전압입니다.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 2023. 9. 11.
재가속 (Reacceleration)과 재기동 (Re-starting)에 대하여 한전의 네트워크 같은 전력 공급자의 선로에서는 외부 이물질로 인해서 순간적인 단락이나 전압 강하 등이 쉽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나뭇가지로 인해서 순간 단락이 되었다면 나뭇가지는 불에 타서 순간에 없어지지만 그 후단의 전체 계통에 순간적인 전압강하가 발생할 수밖에 없는데 이로 인해서 공장이 다운된다면 너무 손해가 클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이런 경우에 차단기를 트립시키지 않고 전동기가 순간 감속되다가 다시 정상 속도로 회복되도록 돕는 것이 당연할 것입니다. 이와 같은 경우에 대처하기 위해서 재가속과 재기동이란 시스템이 필요합니다. ​ 개요 재가속 (Reacceleration)은 시스템 전압 이벤트(순간전압강하, 정전, BUS 전환 등)로 인해 발생하는 예기치 않은 전동기의 속도 저하 후 전동기를 자동으.. 2023. 9. 10.
지락 과전류 계전기 (50/51N, 50/51G) 의 설치와 결선 및 정정 방법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락 과전류 계전기 (OCGR)에 대하여 다루어 보겠습니다. 지락 과전류 계전기도 일반 과전류 계전기만큼이나 자주 사용되고 있지만 실제 적용은 과전류 계전기 보다 어렵습니다. 세팅도 단순하지 않아서 명확한 규정이 없기도 합니다. 따라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그러한 여러 문제들을 좀 디테일하게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지락 과전류 계전기의 동작 특성은 과전류 계전기와 동일합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지락 과전류 계전기의 설치 위치, 결선 방법 그리고 정정 (Setting)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 먼저 N과 G는 어떻게 다른지 확인해 보고 시작하겠습니다. ANSI 50N/51N: residual current calculated or measured by 3 phase current se.. 2023. 9. 9.
과전류 계전기 (50/51)의 적용 및 정정 방법 과전류 계전기 (OCR)는 보호 계전 시스템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만큼 가장 중요한 계전기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가장 잘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어야 하는 계전기입니다. 한시(51)와 순시(50)로 크게 나뉘지만 하나의 계전기 안에 다 포함되어 있는 기능들입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이 과전류 계전기의 설치 방법과 설치 위치 그리고 그 특성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과전류 계전기 설치 방법 및 설치 위치 과전류 계전기는 아래 그림과 같이 CT의 2차 측에 설치하며 각 상마다 설치하고 필요시 중성선에 지락과전류 계전기를 설치합니다. 아래 그림에서 TOC는 한시, IOC는 순시 특성을 나타냅니다. 과전류 계전기의 설치 위치는 다음 그림에서 E, D, C, B에 모두 설치됩니다. 전력 시스템.. 2023. 9. 8.
고압 전동기 고장 보호의 기초 (차동 과전류와 지락) 고압 전동기의 보호 시스템 중에서 중요하게 고려되는 비율차동 계전방식과 지락 보호에 대하여 중요한 자료가 있어서 포스팅을 올립니다. EEP의 원본 자료를 번역한 자료입니다. 여러 가지의 비율차동계전방식을 설명하고 있으며 지락보호에 대하여도 상세한 설명이 되어있어 도움이 되는 자료입니다. 본 포스팅은 아래의 EEP 자료를 번역한 것입니다. 원 자료는 아래 링크를 참조 바랍니다. https://electrical-engineering-portal.com/medium-voltage-motor-fault-protection ​ 고압 전동기의 보호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그중에서 먼저 Differential protection (차동 계전기 보호)와 Ground overcurrent protec.. 2023. 9. 7.
각 규격의 접촉 전압과 보폭 전압에 대한 이해 KEC가 적용되면서 이전과 같이 1종 ~ 3종 접지에 대하여 접지 저항값이 제시되는 것이 아닌 허용 접촉전압 이하로 접촉 전압이 유지되도록 접지를 하라는 규정을 생각하다가 자료를 찾아보게 되었는데 아래의 자료가 도움이 될 것 같아서 포스팅으로 올리게 되었습니다. 이 자료는 각 규격별 접촉전압과 보폭전압을 계산하는데 가이드가 될 수 있습니다. 이 포스팅에서 IEEE 및 IEC 표준에 따른 안전한 접촉 및 보폭 전압 한계 (안전 기준)를 계산하는 공식을 제시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려고 합니다. ​ I. 서론 안전한 접지 시스템 설계에는 두 가지 목표가 있습니다. 장비의 한계를 초과하지 않고 정상 및 고장 전류를 운반하는 수단을 제공하고, 지상 시설 근처의 사람이 위험한 전기 충격에 노출되는 위험을 줄이는 것입.. 2023. 9. 6.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