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42

초고압 케이블 공장 검사 절차서 (FAT Procedure) 초고압 케이블의 공장 검사 (FAT - Factory Acceptance Test)에 대한 샘플 절차서 (Procedure)를 공유합니다. 실제 자료를 첨부할 수는 없기 때문에 그 내용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목차1. Partial discharge test2. A.C Voltage test3. Oversheath Voltage withstand test4. Measurement of the electrical resistance5. Measurement of the capacitance6. Conductor examination7. Measurement of thickness and diameter8. Hot set test for XLPE insulation9. Water penetratio.. 2024. 6. 12.
SPD (Surge Protective Device)의 실제 적용 이전에 몇개의 포스팅을 통해서 SPD의 원리와 설치 기준들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준비만 하다가 포스팅이 늦어졌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그러면 실제로 어떻게 어느 곳에 설치해야 하고 어디는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지에 대해서 면밀히 검토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해외의 플랜트 현장에서 전기는 SPD를 잘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계장은 자기들의 전원 라인에 SPD를 많이 사용했습니다. 이러한 배경을 가지고 SPD를 설치해야 하는 곳과 하지 않아도 되는 곳을 살펴보려고 합니다.  1. KEC의 기준 검토위의 KEC 153.1.4 항의 서지 보호장치의 시설에 대한 기준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전기 설비의 보호 - KS C IEC 61643-12 (저전압 서지 보호 장치 -.. 2024. 6. 7.
IEC 60287 케이블 사이징 - Armour Loss 계산 이번 포스팅은 IEC 60287 케이블 사이징의 마지막 단계인 Armour loss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저는 예전에 포스팅을 작성한 것으로 생각하고 잊고 있었는데 어느 분이 왜 Armour loss는 안 올리냐고 질문 주셔서 확인해 봤더니 누락되었더군요.  1. Loss factor for non-magnetic armour or reinforcementArmour나 Reinforcement의 구분은 두가지로 보통 합니다. magnetic이냐 non-magnetic 이내로 구분을 합니다. 자성이 있는 재질과 자성이 낮은 재질의 Loss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기본적으로는 magnetic material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원칙입니다. Single core cable에서는 non-magnetic m.. 2024. 6. 6.
엔지니어의 에피소드 - 회사와 밀당한 이야기 회사를 다니다 보면 회사의 처우에 불만이 생기는 경우가 있습니다. 사실 불만이 있다고 다 해결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회사와 대립해야 할 때도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다만 배수진을 쳐야 협상이 가능하다는 것은 다 아시겠죠? 배수진은 사표를 낼 각오죠. 얼마 전 링크드인에서 올라온 에피소드가 있었는데요 대리가 임원하고 계급장 떼고 붙은 이야기였습니다. 임원이 그랬다더군요. 네가 틀리면 회사에서 잘릴 각오를 하라고요. 근데 대리의 말이 맞아서 사표는 안 내도 되었다고 하더군요. 첫 번째는 제가 GS건설에 2005년도에 입사하고 1년이 좀 안 되던 때였습니다. 저는 계약직으로 입사를 했는데 프로젝트 계약직이라서 프로젝트가 끝나기 전에는 계속 자동 연장이 된다고 생각했는데 어느 날 계약.. 2024. 5. 24.
63세에 새롭게 시작한 일 (PIC 업무)에 대하여 이번 포스팅에서는 최근에 하고 있는 저의 일에 대해서 써보려고 합니다. 새롭게 시작한 지 3개월이 되었습니다. 정년퇴직보다 6개월 일찍 회사의 제안을 받아서 퇴직하고 집에서 쉬다가 SK에 코엔 지니어링에서 제의가 와서 1년을 국내 수소 프로젝트에서 일 년을 일했습니다. 계약직으로 들어가서 Physical work을 위주로 일을 했는데 바쁠 땐 엄청 힘들어서 내가 연봉을 너무 적게 받고 왔다는 생각이 들 정도였죠. 지금 하고 있는 일은 PIC라고 하는데 Procurement Inspection Coordinator의 약어로 검사 코디네이터라고 합니다. 구매팀의 검사 파트 소속으로 일하는 파견직이죠. 엔지니어링 회사에서 파견직을 받아서 일을 시키는 역무가 몇 가지가 있는데 Document controller.. 2024. 5. 21.
키르히호프의 법칙 (Kirchhoff's Laws) 이번 포스팅은 전기 기초 상식 편의 두 번째 법칙인 키르히호프의 법칙에 대해서 다루어보려고 합니다. 앞선 오옴의 법칙에 이어서 실제로 전기를 다루는데 기초가 되는 법칙입니다. 이 두 가지 법칙만 알아도 산수로 해결되는 대부분의 전기 문제에 대해서 이해할 수 있습니다.  회사에서 일해보면 산수로 충분한 경우가 대부분이고 수학이 필요한 경우는 프로그램을 돌리거나 전문 업체에 의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전기 이론에서 산수에 해당하는 것이 오옴의 법칙과 키르히호프의 법칙입니다.  지식백과 정의키르히호프의 법칙은 회로에 흐르는 전류와 루프에 걸리는 전압에 대해 서술한 법칙이다. 키르히호프 제1법칙 혹은 전류의 법칙은 노드로 들어오는 전류와 흘러 나가는 전류는 같다로 정의되며 이는 전하 보존의 결과로 볼 수 있다... 2024. 5. 14.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