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기 Engineering/위험지역 분류와 방폭3

방폭 도면에서 사용되는 주요 개념에 대한 설명 방폭 도면 (hazardous area classification)을 작성하는데 필요한 몇 가지 개념이 있습니다. 모두 화학적 개념이라서 전기엔지니어에게는 생소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개념을 이해하지 못하면 방폭 설계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어떤 물질이 폭발의 위험을 가지고 있는지 아닌지를 결정하는데 필요한 개념들입니다. 전기 엔지니어는 잘 모를 수 있지만 기본적인 개념만 좀 이해하고 가면 되겠습니다. 여기에 설명하는 개념은 "HAZARDOUS SOURCE LIST" 라고 하는 공정에서 작성하는 위험물질표에 포함되는 내용입니다. ​ 1. FLASH POINT (인화점) - 가연성 액체의 표면에서 화염을 접근시켰을 때 연소가 발생할 만큼의 증기를 발생시키는 최저온도. 이 온도가 낮을수록 위험성이 높아집.. 2023. 7. 7.
방폭 구역 도면에 대한 이해 (Hazardous Area Classification) Hazardous area classification 이란 도면은 석유 화학 공장에 특화된 도면입니다. 일반 공장에는 이런 도면을 작성하지 않는데 석유 화학 공장에는 폭발성 가스가 상존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폭발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뉴스에서도 종종 공장에서 폭발 사고가 발생했다는 기사를 접하게 되는데 폭발이 일어나면 공장 전체가 없어지기도 하기 때문에 굉장히 위험합니다. 그래서 폭발이 발생할 조건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서 이 도면을 작성하는 것입니다. ​ 방폭이란 폭발방지를 줄인말입니다. 폭발성 GAS가 항상 있을 수밖에 없는 석유화학 공장에서 어떻게 하면 폭발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고민을 체계화한 것이 HAZARDOUS AREA CLASSIFICATION 인 것입니다. 폭발 위험에 .. 2023. 7. 7.
방폭 지역의 케이블 포설 방법 (Cable Installation in Hazardous Area) 방폭 지역의 케이블 포설은 각 지역별로 적용하는 규격이 달라서 일괄적으로 적용하기 어렵습니다. 중동지역은 주로 IEC 기준을 따르고 ATEX를 적용하고 있으나 동남아 지역은 같은 IEC를 따라도 ATEX는 적용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국내의 규격도 IEC를 따르나 디테일한 부분에서는 IEC를 수정하여 국내 실정에 맞게 바꾸었기 때문에 이에 대하여 잘 알지 못하면 문제가 발생합니다. 방폭 지역의 기기에 Cable을 연결하는 경우 까다로운 조건을 만족시켜야 합니다. 적용할 기준은 미국과 유럽 기준 그리고 국내 기준이 조금씩 다릅니다. 여기서는 국내 기준을 바탕으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1. IEC 기준 1) Exd 박스에 연결할 때는 Barrier Type Cable Gland를 사용해서 연결합니다. .. 2023. 7. 3.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