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기전문블로그5

개별 전동기용 역률 보상 커패시터의 설치 위치 전기 전문 블로그 "전기만 33년"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개별 전동기의 역률 보상 시 커패시터를 어디에 연결해야 하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실제로 설치 위치에 따라 여러가지 고려해야 할 문제들이 있습니다. 1. 개별 부하별 보상 시의 커패시터 설치 위치 커패시터는 kVAR 발전기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가장 효율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곳은 kVAR이 소비되는 모터에 직접 연결하는 것입니다. 모터에 커패시터를 설치하는 데에는 세 가지 옵션이 있습니다. 아래 정보를 사용하여 각 모터에 가장 적합한 옵션을 결정하십시오. 위치 A – 과부하 릴레이의 모터 측 A 위치는 모터 터미널에 연결한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역률 보상에 가장 효과적인 위치입니다. 이곳에 설치하면 아래 그림에서 보여주듯이 과전류 보호장.. 2024. 1. 6.
조명 설계 - 조도 계산 전기 전문 블로그 "전기만 33년"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조명 설계의 가장 중요한 부분인 조도 계산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조도 기준을 무엇으로 선정할 것인가부터 실제 조도 계산을 하고 조명 기구를 배치하는 것까지 차례로 알아보겠습니다. 조도 계산에 대한 기본을 아래와 같이 설명합니다. 1. 조도 기준 선정 1) 조도 기준 확인 조명이 설치되어야 하는 장소에 대한 조도 기준을 확인합니다. KS나 IEA 기준이나 발주처의 SPEC 상 요구 조도 기준을 확인합니다. 2) 방지수[실지수] 방의 크기와 형태는 빛의 이용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넓고 천장이 낮은 방은 천장이 높은 방에 비하여 빛의 이용률이 좋은데, 이것은 방바닥 면적에 비례하여 빛을 흡수하는 면적이 적어지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방지수는.. 2024. 1. 4.
Selectivity(선택성) in MV/HV network protection 전기 전문 블로그 "전기만 33년"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계통보호에서 아주 중요한 개념인 선택성 (Selectivity)에 대해서 다루어 보겠습니다. 이 선택성이 보장되지 않으면 불필요한 차단기가 트립 되어 정전 부위가 확대되고 피해가 커지게 됩니다. 이 포스팅을 통해서 선택성에 대한 확실한 이해를 얻으시길 바랍니다. 적절한 선택성 확보의 핵심 전력계통에 대한 선택성 연구는 대개 계전기 보호 기술자들인 고급 기술자들의 진보된 직업으로 여겨집니다. 이 글에서는 몇 가지 중요한 선택성 원리들을 간단한 방법으로 접근하려고 노력할 것입니다. 보호장치들이 전력계통 구조와 그 접지 시스템과 연관되어 논리적 체계를 구성한다는 것을 충분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보호 장치는 사고가 난 파트와 사고의 영향을 받는.. 2024. 1. 2.
변압기의 주요 공장 검사 항목 12가지 전기 전문 블로그 "eec237"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변압기의 공장 검사에 대하여 살펴보려고 합니다. FAT는 Factory Acceptance Test의 약자로 공장 승인 검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제작이 끝나고 자체 시험이 완료되면 발주처의 검사관이 참여하여 FAT를 실시합니다. 여기서 모든 검사가 통과되면 변압기를 납품할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FAT는 매우 중요하며 공장을 떠나기 전에 마지막 단계이므로 문제가 하나도 남지 않도록 잘 체크해야 합니다. 여기서는 주요 12개의 시험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이 12개의 시험 목록은 완전하지 않으며 Turn ratio test 또는 Measurement of voltage ratio 및 check of phase displacem.. 2024. 1. 1.
SPD (Surge Protective Device)의 이해 (2) 1. SPD의 주요 특성 1) 최대 연속 동작 전압 2) 최대 연속 동작 전압의 기준 3) 최대 연속 동작 전압의 표준 값 ​ 4) 전압 보호 레벨 5) 공칭 방전 전류 ​ 2. SPD의 연결 도체 설계 1) SPD 연결 도체의 길이 및 굵기 제한 연결도체의 길이는 주 회로에서 주 접지 단자까지 0.5m 이내로 제한됩니다. 또한 연결도체의 굵기는 1등급에서 16sq, 2등급은 6sq 이상을 사용해야 합니다. (KEC 핸드북에서는 2등급에서 4sq로 설명하지만 이는 KEC 본문 내용이 아니므로 적용할 수 없고 아래의 KS C IEC 규격에 나온 것이 맞는 것으로 보아야 합니다.) 아래 자료 참조 (KS C IEC 60364-5-53) ​ 장비 보호를 위한 필수적인 특성 중 하나는 장비가 단자에서 견딜 수 .. 2023. 12. 14.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