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기 Engineering/단선도에 포함된 모든 정보31

SPD (Surge Protective Device)의 실제 적용 이전에 몇개의 포스팅을 통해서 SPD의 원리와 설치 기준들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준비만 하다가 포스팅이 늦어졌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그러면 실제로 어떻게 어느 곳에 설치해야 하고 어디는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지에 대해서 면밀히 검토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해외의 플랜트 현장에서 전기는 SPD를 잘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계장은 자기들의 전원 라인에 SPD를 많이 사용했습니다. 이러한 배경을 가지고 SPD를 설치해야 하는 곳과 하지 않아도 되는 곳을 살펴보려고 합니다.  1. KEC의 기준 검토위의 KEC 153.1.4 항의 서지 보호장치의 시설에 대한 기준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전기 설비의 보호 - KS C IEC 61643-12 (저전압 서지 보호 장치 -.. 2024. 6. 7.
IEC 60287 케이블 사이징 - Armour Loss 계산 이번 포스팅은 IEC 60287 케이블 사이징의 마지막 단계인 Armour loss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저는 예전에 포스팅을 작성한 것으로 생각하고 잊고 있었는데 어느 분이 왜 Armour loss는 안 올리냐고 질문 주셔서 확인해 봤더니 누락되었더군요.  1. Loss factor for non-magnetic armour or reinforcementArmour나 Reinforcement의 구분은 두가지로 보통 합니다. magnetic이냐 non-magnetic 이내로 구분을 합니다. 자성이 있는 재질과 자성이 낮은 재질의 Loss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기본적으로는 magnetic material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원칙입니다. Single core cable에서는 non-magnetic m.. 2024. 6. 6.
MCB, MCCB, ELCB, RCCB의 차이점 이번 포스팅에서는 우리가 주로 사용하는 저압 차단기들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EEP의 자료를 기준으로 설명하겠습니다.  여기서 설명하는 것은 국내 기준과 용어에서 혼동이 있음을 주의 바랍니다. 아래의 WIKI에서 가져온 설명이 참고가 될겁니다.위 설명에서 보면 ELCB라는 용어는 Voltage operated type 에 적용하는 용어이며 국내에서 사용되는 Current operated type은 RCCB 라는 용어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1. MCB (Miniature Circuit Breaker)특징 (Characteristics) 정격 전류가 100A 이하 (Rated current not more than 100A)트립 특성 조절이 불가능 (Trip characteristics nor.. 2024. 4. 26.
MV/LV SWGR의 계전기 선정 2 이번 포스팅은 EEP(Electrical Engineering Potal)의 자료를 기본으로 해서 MV/LV SWGR의 Incoming 및 Outgoing feeder에 대한 계전기 선정 방법에 대한 것으로 앞선 LV SWGR에 대한 내용에 이어서 이번에는 MV SWGR에 대한 내용을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서론 - 적정한 계전기 선정 적정한 계전기의 선정은 신뢰성 있는 네트워크를 만들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단계들 중의 하나입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33kV 이하의 SWGR에 대해서 검토해 보겠습니다. 샘플 프로젝트에 대해서 선정된 계전기들이 아래의 Single line diagram에서 보여주고 있습니다. 목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저압 배전반 (이전 포스팅의 내용) 1) 전력 배전 변압기의 후단 배전.. 2024. 4. 1.
MV & LV SWGR의 계전기 선정 이번 포스팅은 EEP(Electrical Engineering Potal)의 자료를 기본으로 해서 MV/LV SWGR의 Incoming 및 Outgoing feeder에 적합한 계전기 선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실제 공장 등의 현장에서 많이 사용하는 부분이라서 참고가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내용이 길어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LV SWGR에 대한 부분을 다루고 MV SWGR는 다음 포스팅에 올리겠습니다. 서론 - 적정한 계전기 선정 적정한 계전기의 선정은 신뢰성 있는 네트워크를 만들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단계들 중의 하나입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33kV 이하의 SWGR에 대해서 검토해 보겠습니다. 샘플 프로젝트에 대해서 선정된 계전기들이 아래의 Single line diagram에서 보여주고 있습니다. .. 2024. 3. 27.
전동기 직입 기동 회로와 시퀀스 이번 포스팅은 시퀀스를 다루려고 합니다. 회로 및 시퀀스 관련 내용이 너무 없어서 일단 전동기 운전 관련 시퀀스로 몇 가지를 기초적으로 올리려고 합니다. 첫번째는 직입 기동입니다. 영어로 Direct-on-line (DOL)이라고 합니다. 간단하지만 시퀀스의 기본이기도 합니다. 아래 그림을 참조 바랍니다. 물리적인 케이블 연결과 동작 회로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MC의 S 상 위쪽에서 적색 선이 전원선입니다. S 단자에서 나온 선이 Start 버튼에 연결되고 그다음에 Stop 버튼에 연결됩니다. 그 중간에 나온 선이 MC의 보조 접점에 연결되어서 소위 Self Holding 회로를 만듭니다. 그리고 Stop에서 나온 선이 과부하계전기의 접점에 연결되는데 이 접점은 평상시 ON 되어 있는 B 접점입니다. 이.. 2024. 3. 6.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