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152 구글 검색에서 클릭하면 블로그 메인으로 연결됩니다. 티스토리의 글들이 구글 유입이 없어서 조사하던 중 구글 서치 콘솔에 등록해야 한다는 글을 보고서 저도 티스토리와 네이버 블로그를 구글에 등록을 했습니다. 혹시 등록하는 방법이 궁금하신 분들은 따로 검색해 주세요. 상당히 복잡해서 따라 하는데도 한참 헤매고 시간도 많이 걸렸습니다. 근데 오늘 아래와 같은 메일을 받았습니다. 이 메일을 보고는 이젠 구글에서 검색이 되나 보다 하고 기쁜 마음에 구글 검색을 했더니 이상한 게 나왔습니다. 아래 구글 검색 페이지를 보시면 두 번째 내용이 제 블로그인데 제목이 글의 제목이 아닌 블로그 홈 제목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상해서 클릭했더니 블로그 글이 안 나오고 블로그 홈이 나왔습니다. 이래서는 글을 읽을 수도 없고 블로그 홈에서 글을 찾는 것도 어려워서 다 그냥 갈 것 .. 2023. 9. 22. 커패시터 (Capacitor)의 동작 특성 이해하기 커패시터 (Capacitor)는 어쩌면 이해하기 어려운 장치가 아닌가 생각됩니다. 실제로 플랜트 현장에서 커패시터 뱅크를 많이 설치하기도 했고 설계시에도 많이 검토했지만 그 동작 특성에 대해서 진지하게 생각해 본 적은 없는 것 같습니다. 전기 카페에서 여러 사람들이 커패시터에 대하여 질문하는 것을 보고 또 그 분들이 궁금해 하는 것을 보면서 저도 궁금해 졌습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 커패시터의 동작 원리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려고 합니다. 1. AC 회로에서 커패시터는 어떻게 작동합니까? 커패시터는 인가된 전압 값까지 충전되어 마치 임시 저장 장치처럼 작용하며 직류 연결 시에는 공급 전압이 존재하는 한 이 전하를 무한히 유지합니다. 커패시터에서는 전압의 변화를 방해하는 방향으로 충전 전류가 흐.. 2023. 9. 19. 저압 접지 시스템의 기초 이해 저압 접지 시스템에 대한 기초의 이해는 중요합니다. 3가지의 주요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하고 실제 현장에서 발견되는 문제에 대하여 다루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IT시스템, TT시스템, TN시스템 3가지와 여기서 변형된 시스템도 알아보겠습니다. 외국 자료와 국내 자료를 함께 비교해 보는 것으로 실제 설계에 적용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아래의 내용은 먼저 슈나이더사의 자료인 Industrial network design guide 중의 "Earthing Systems"에서 번역한 자료를 보여주고 그 중에 KS C IEC 60364-1의 그림을 참조로 올렸습니다. 그 후에는 KEC의 자료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일부 내용에 대하여 추가적인 설명은 다른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참조 바랍니다. .. 2023. 9. 17. 규격별 변류기의 정격 (Rating of CT - Current Transformer) 변류기 즉 CT는 전기 시스템에서 없어서는 안 되는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전류를 측정하고 기기를 보호하는 계전기를 동작시키는 중요한 측정 도구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CT의 정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국내에서 일반적으로 적용하고 있는 IEC 규격을 상세히 알아보고 또한 요즘 미국으로 많이 진출하는데 이를 위해서 NEMA/IEEE규격도 확인해 보겠습니다. 1. IEC의 CT 정격 1) CT 1차 정격 전류 CT의 1차 전류 정격은 측정하려는 예상 최대 전류보다 커야 합니다. 계측용 CT의 1차 정격 전류는 최대 전류의 1.5배를 초과하면 안 됩니다. 보호계전용의 CT 1차 정격 전류는 고장전류가 흐를 동안 보호 검출 값을 얻을 수 있는 값으로 선정되어야 합니다. 1차 정격 전류 값은 I.. 2023. 9. 14. 50HZ 전동기를 60HZ 전원에서 사용할 수 있을까요? 전기 박사 카페에 올라온 질문 중에 유럽에서 수입한 냉동기인데 사양이 50HZ 380V, 60HZ 440V로 되어 있는데 본인은 380V 전원만 가지고 있어서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질문한 내용을 보고 이 주제를 한번 검토해 보아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50HZ 전동기를 60HZ 전원에 사용하면 어떻게 될까요? 또 그 반대의 경우는 어떤 현상이 발생할까요? 궁금한 내용이 아닐 수 없습니다. 이 포스팅에서 검토해 보겠습니다. 1. 50Hz와 60Hz의 차이점 50Hz 와 60Hz 의 주요 차이점은 60Hz가 주파수가 20% 높다는 것입니다. 발전기 또는 유도 전동기 펌프의 경우 1500/3000 RPM 또는 1800/3600 RPM (60Hz 용)을 의미합니다. 주파수가 낮을수록 철손실과 와류 손실이 낮아집니.. 2023. 9. 13. 접지 도체의 사이즈 정리 접지 도체라고 통칭해서 이야기하지만 그 구성은 여러 가지 용어가 혼재해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접지 도체에는 어떠한 구분이 있으며 각각의 명칭은 무엇이고 그 도체의 사이즈는 얼마로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물론 이 포스팅에서 모든 것을 간단명료하게 설명할 수는 없습니다. 각각의 현장마다 실제 적용을 위해서는 엔지니어가 면밀히 검토하고 계산해야 하는 부분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최대한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겠습니다. 네이버 카페 등에서 접지 도체의 사이즈에 대하여 질문하는 케이스가 많습니다. KEC 규정의 적용과 IEC로의 변환 등이 이러한 혼선을 더 크게 하는 것 같습니다. 복잡한 플랜트 등에서는 절차에 맞춰서 접지 설계를 하면 접지선의 굵기를 다 검토하게 되지만.. 2023. 9. 12. 이전 1 ··· 18 19 20 21 22 23 24 ··· 26 다음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