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152 접지 연결에 대한 기초 이해 (Earthing Protection System) 접지와 관련하여 무엇을 어디에 연결해야 하는지를 설명하는 자료들이 있습니다. 각각의 연결 선에 대한 설명이나 용어가 조금씩 다르기는 하지만 이러한 내용을 이해한다면 접지 설계에서 중요한 것을 빠뜨리지 않고 반영할 수 있습니다. 접지 연결의 기초라고 했는데 이런 내용에 대한 이해가 없으면 접지 도면이나 설계 자료를 이해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꼼꼼히 살펴보시길 추천합니다. 1. KEC 자료 설명 KEC에서 보여주는 그림이 있습니다. 아래의 그림을 참조 바랍니다. 위의 KEC 자료를 참조하면서 아래의 외국 자료를 같이 이해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동일한 부분에는 KEC의 관련 번호를 기입하였습니다. KEC에 없는 부분도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2. EEP의 자료 (The basic under.. 2023. 9. 6. 비상 전원 장치에 대한 정리 (Emergency Power System) 비상전원 장치라는 것은 정전이 되었을 때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장치들입니다. 대표적으로 비상발전기가 있습니다. 비상 발전기는 앞의 포스팅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발전기를 제외한 다른 비상 전원 장치를 알아보겠습니다. 일반적으로 다음의 세 가지 비상 전원 장치가 있습니다. 1) DC 전원 장치 Battery Charger 2) 무정전 전원 장치 UPS 3) 에너지 저장 장치 ESS [1] DC 전원장치 (Battery Charger) Battery Charger (배터리 충전기)에 대하여 검토해 보겠습니다. 1. Battery Charger의 원리 1) 단선도 (Single Line Diagram) Battery Charger는 AC를 DC로 변환하여 Battery를 충전하고 DC 부하를 공.. 2023. 9. 6. MV SWGR에 대한 주요 개념 이해 Medium Voltage SWGR는 국내에서 3.3kV에서 33kV까지의 고압 배전반을 통칭해서 사용합니다. Medium Voltage라는 개념이 국내에는 없지만 번역할 때는 고압으로 하고 있습니다. 해외에서 제작하는 SWGR를 보면 사람의 안전에 대하여 아주 깊은 고려가 있음을 보게 됩니다. 이런 깊은 고려가 실제로 IEC 규격에 담겨있습니다. 우리도 안전에 대하여 깊은 이해와 관심을 가지고 SWGR를 제작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이러한 개념을 잘 설명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이번 설명에서 쓰이는 자료는 예전에 현대중전기에서 Presentation 했던 자료에서 발췌한 부분이 있음을 밝혀 드립니다. 1. MV SWGR의 적용 규격 IEC 62271-200 이 IEC 규격 .. 2023. 7. 7. 저압반 (LV SWGR)의 구조적 특성 이해 저압반 (LV SWGR)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LV SWGR는 다양한 형태가 있습니다. ACB를 내장한 고압 SWGR와 유사한 구조도 있고, 우리가 배전반이라고 부르는 MCCB를 위주로 구성된 것도 있으며, 분전반이라고 부르는 소규모의 판넬도 있습니다. 이런 다양한 구조의 저압반을 나누는 기본적인 요소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IEC의 저압반 구조 저압반은 KSCIEC61439-2의 규정에 따라 그 구조에 대하여 먼저 설명드립니다. 예전 표준이었던 IEC 60439-1은 폐기되었습니다. IEC 규격 원본도 참조하면 좋은데 최신본은 모두 유료라서 부득이 KS C IEC로 올린 것을 양해 부탁드립니다. 고압반에서는 기능 UNIT들의 분리 정도에 따라 LSC 등급에 따라 결정되었는데 저압반에서도 각 .. 2023. 7. 7. 방폭 도면에서 사용되는 주요 개념에 대한 설명 방폭 도면 (hazardous area classification)을 작성하는데 필요한 몇 가지 개념이 있습니다. 모두 화학적 개념이라서 전기엔지니어에게는 생소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개념을 이해하지 못하면 방폭 설계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어떤 물질이 폭발의 위험을 가지고 있는지 아닌지를 결정하는데 필요한 개념들입니다. 전기 엔지니어는 잘 모를 수 있지만 기본적인 개념만 좀 이해하고 가면 되겠습니다. 여기에 설명하는 개념은 "HAZARDOUS SOURCE LIST" 라고 하는 공정에서 작성하는 위험물질표에 포함되는 내용입니다. 1. FLASH POINT (인화점) - 가연성 액체의 표면에서 화염을 접근시켰을 때 연소가 발생할 만큼의 증기를 발생시키는 최저온도. 이 온도가 낮을수록 위험성이 높아집.. 2023. 7. 7. 방폭 구역 도면에 대한 이해 (Hazardous Area Classification) Hazardous area classification 이란 도면은 석유 화학 공장에 특화된 도면입니다. 일반 공장에는 이런 도면을 작성하지 않는데 석유 화학 공장에는 폭발성 가스가 상존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폭발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뉴스에서도 종종 공장에서 폭발 사고가 발생했다는 기사를 접하게 되는데 폭발이 일어나면 공장 전체가 없어지기도 하기 때문에 굉장히 위험합니다. 그래서 폭발이 발생할 조건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서 이 도면을 작성하는 것입니다. 방폭이란 폭발방지를 줄인말입니다. 폭발성 GAS가 항상 있을 수밖에 없는 석유화학 공장에서 어떻게 하면 폭발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고민을 체계화한 것이 HAZARDOUS AREA CLASSIFICATION 인 것입니다. 폭발 위험에 .. 2023. 7. 7. 이전 1 ··· 20 21 22 23 24 25 26 다음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