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기 Engineering141 비상용 발전기의 용량 계산 방법 논란 이번 포스팅은 예전에 올렸던 비상발전기 용량 계산에 대한 포스팅의 후속 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최근에 전기박사 카페에서 어느 분이 프로젝트에서 건축설계기준의 GP법을 적용해서 계산하라고 해서 발전기 용량이 크게 늘어날 사태에 직면했다며 PG법과 GP법 사이에 어느 것을 적용해야 하는지에 대해 질문을 했습니다. 이 질문을 보고 과연 어떤 방식을 어느 경우에 따라야 할지에 대하여 좀 더 확실하게 검토할 필요를 느꼈습니다. 결론이 어떻게 나올지는 지금은 알 수 없어서 흥미롭습니다. 자료를 찾아가며 결론을 도출해 보겠습니다. 1. KEC (한국전기설비규정)의 요구 KEC는 244 비상용 예비전원설비에서만 비상용 전원에 대해서 다룹니다. 그런데 여기에서는 비상용 전원 전체에 대한 것을 말하는 것이기 때문에 비.. 2024. 3. 29. MV & LV SWGR의 계전기 선정 이번 포스팅은 EEP(Electrical Engineering Potal)의 자료를 기본으로 해서 MV/LV SWGR의 Incoming 및 Outgoing feeder에 적합한 계전기 선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실제 공장 등의 현장에서 많이 사용하는 부분이라서 참고가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내용이 길어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LV SWGR에 대한 부분을 다루고 MV SWGR는 다음 포스팅에 올리겠습니다. 서론 - 적정한 계전기 선정 적정한 계전기의 선정은 신뢰성 있는 네트워크를 만들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단계들 중의 하나입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33kV 이하의 SWGR에 대해서 검토해 보겠습니다. 샘플 프로젝트에 대해서 선정된 계전기들이 아래의 Single line diagram에서 보여주고 있습니다. .. 2024. 3. 27. 트렌치에서 허용 전류 높이는 방법 이번 포스팅은 트렌치로 케이블을 포설할 때 허용 전류를 높이는 방법에 대한 것입니다. 이 내용은 제가 실무를 할 때는 잘 몰랐고 공부를 하면서 알게된 내용인데 이 내용을 보신 분들은 실무에 실제로 적용해 보시기를 추천합니다. 1. 케이블의 허용 전류에 큰 영향을 주는 요소 케이블의 허용 전류를 계산할 때 영향을 주는 요소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주위 온도 토지 열저항 땅에 묻는 깊이 케이블의 회로 수 이 중에서 가장 크게 영향을 주는 것은 케이블의 회로 수인데 이것은 줄일 수가 없는 요소입니다. 그다음으로 큰 영향을 주는 것이 토지 열저항입니다. 단위가 ℃-m/W 혹은 ℃-cm/W로 표시됩니다. 이 토지 열저항이 낮으면 열전달이 잘 된다는 뜻이어서 케이블의 온도가 덜 오르기 때문에 허용 전류가 .. 2024. 3. 27. 케이블의 길이는 어떻게 측정하나요? 이번 포스팅은 케이블의 길이를 산출하는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해 보려고 합니다. 케이블 물량이 1조짜리 플랜트를 하나 짓는데 4-500만 미터 정도가 소요됩니다. 땅의 크기나 변전소 위치 등에 따라 차이가 나지만요 엄청난 물량이 들어갑니다. 그런데 저를 포함해서 대부분의 엔지니어가 가장 욕을 많이 먹는 분야가 바로 이 케이블 분야입니다. 케이블이 빠졌거나 실제 소요된 케이블과 예산 물량이 차이가 많이 나는 경우가 엄청 많습니다. 그래서 실행 예산이 많이 올라가면 견적을 낸 사람부터 줄줄이 욕을 먹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실제 사용했던 케이블 산출 방식을 한 번 이야기해 보려고 합니다. 회사에서 쓰던 자료는 가지고 나오지도 못하기 때문에 보여드리진 못하지만 개략적으로 그림으로라도 표현을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2024. 3. 13. Auto-Transformer 기동 시퀀스 au전동기의 시퀀스 3번째로 이번에는 단권변압기로 기동하는 Auto-Transformer 기동기의 시퀀스입니다. Auto-Transformer 기동기는 다른 표현으로 Korndorfer starter라고도 합니다. 1. 메인 기동기 회로와 원리 Auto-Transformer Starter의 메인 회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메인 차단기는 그림에서 보이지 않습니다. 여기서는 스위치의 구성 위주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러한 회로를 구성하기 위해서 아래 그림과 같이 3개의 MC가 필요합니다. 보통 Auto-transformer 기동은 고압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Vacuum Contactor가 사용됩니다. 아래 그림에서 Switch 3가 먼저 붙어서 Transformer를 Y 결선으로 만들고 그다음에 Switch 1.. 2024. 3. 8. 전동기의 와이-델타 (Y-D) 기동 시퀀스 이번 포스팅은 앞선 직입기동 전동기 시퀀스에 이어서 와이-델타 기동 시퀀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Y-D기동은 좀더 복잡하고 어려운데요 잘 이해하면 전기 시퀀스에 대해서 한단계 더 알게해 줍니다. 이번 포스팅은 EEP에서 발행한 여러 시퀀스관련 자료에서 발췌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1. Y-D 기동 회로 - 메인 회로 Y-D 기동 회로를 구성하는 부품은 아래그 그림에 나와 있는것 같이 다음과 같이 구성됩니다. 아래 그림에서 메인 차단기는 생략되고 MC 부터 그려져 있음을 참고 바랍니다. 메인 차단기 (MCCB 혹은 Fused Switch) - 단락 고장 보호용 메인 MC (전자접촉기) 델타 MC 와이 MC 과부하계전기 (메인 MC 아래에 설치) 3개의 MC가 설치되어 있는데요 각 MC의 용량은 아래와 .. 2024. 3. 7. 이전 1 2 3 4 5 6 7 8 ··· 24 다음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