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52 SPD (Surge Protective Device)의 이해 (1) 앞선 포스팅에서 SPD의 원리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KEC에서 요구하는 SPD에 대한 규정들을 살펴보고 실제로 적용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가 중요합니다. SPD의 설치 위치와 각 위치별 SPD 등급에 대해서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1. SPD의 설치 위치에 대한 기준 SPD의 설치는 피뢰구역의 이해를 바탕으로 합니다. 아래 그림은 KEC핸드북에서 KSCIEC 규격을 인용해서 설명한 피뢰구역에 대한 그림입니다. 피뢰구역은 LPZ 0, LPZ 1, LPZ 2의 세 구역으로 크게 나뉘어져 있습니다. 출처 - The Basic of Surge Protection by Phoenix Contact LPZ 0A: 번개가 직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건물의 외부 지역. 약화되지 않은 낙뢰의 자.. 2023. 12. 13. SPD (Surge Protection Device)의 원리 SPD를 예전에는 잘 사용하지 않았었습니다. 아마도 계장에서는 예전부터 사용한 것 같았는데 전기에서는 플랜트 설계 시에 거의 적용을 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최근 10년 내에 SPD의 사용이 광범위하게 확대된 것 같습니다. SPD에 대해 익숙하신 분도 계시지만 아직도 생소하게 생각되시는 분들도 있으리라 봅니다. 이번 기회에 SPD에 대해서 정확하게 분석해 보려고 합니다. 외국의 자료들과 KEC 기준, IEC 기준, NEMA 기준 등등을 살펴보겠습니다. 첫 번째 순서로 SPD의 원리가 무엇인지부터 알아보겠습니다. 서지 보호 장치(SPD)는 전력 공급 네트워크[1], 전화 네트워크, 통신 및 자동 제어 버스에 사용됩니다. 서지 보호 장치(SPD)는 전기 설비 보호 시스템의 중요한 구성 요소입니다. 이.. 2023. 12. 11. 엔지니어의 에피소드 - 덕적도 발전소 프로젝트 (1) 1987년 말쯤이었습니다. 효성에 있을 땐데 저희 회사가 서해안의 덕적도라는 섬에 발전소를 짓는 프로젝트를 수주했습니다. 건물은 아니고 그 안에 들어가는 디젤 발전기와 부속 설비들이었습니다. 당시에는 인천에서 배를 타고 3시간은 가야 하는 먼 섬이었습니다. 이 프로젝트에는 참 많은 일들이 있었고 재미있는 에피소드도 참 많았던 기억이 있습니다. 현재 네이버 지도에서 검색한 덕적도 내연 발전소입니다. 이름이 덕연 내연발전소라고 되어 있습니다. 지금은 덕적도 주변에 풍력과 태양광 등 신재생 에너지가 개발되고 있고 또 설치되어서 친환경 섬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어서 내연 발전소도 오래지 않아 없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첫 번째로 소개할 에피소드는 도면에 대한 것입니다. 프로젝트를 수주하고 88년 연 초에 한전과 .. 2023. 12. 11. 전압 강하가 전동기의 과부하를 일으킨다는데 전압 강하는 전기 회로에서 발생하는 일반적인 문제입니다. 그리고 전동기의 성능에 심각한 영향을 주는 것입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전동기에서의 전압 강하의 영향을 검토하고 어떻게 그 영향을 줄일 수 있는지를 찾아보려고 합니다. 1. 전압 강하란 무엇일까요? 전동기에서 전압 강하의 영향을 분석하기 전에 먼저 전압 강하가 무엇인지 정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전압 강하는 전류가 전선이나 전동기 같은 도체를 통해서 흐를 때 발생하는 전압 감소입니다. 이것은 도체의 저항이나 도체의 길이와 같은 여러 요소에 의해 발생합니다. 전압 강하는 일반적으로 볼트 Volts로 측정되고 정상 전압의 퍼센트로 표현됩니다. 예를 들면 정상 전압이 120V이고 전압 강하가 10%라고 할 때 전동기에서의 실제 전압은 108V가 됩니.. 2023. 12. 8. 접지와 중성선 사이에 발생하는 전압 (NTGV - Neutral to Ground Voltage) 전기 박사 카페에서 올라오는 질문 중에 접지와 중성선 사이에 발생하는 전압에 대한 문의가 몇 번 있었습니다. 제가 블로그의 작성 주제를 선정할 때 전기박사 카페의 질문을 많이 참고하고 있습니다. 아무리 좋은 내용으로 포스팅을 해도 그것이 실제로 현장에서 도움이 되는 것이 아니라면 의미가 별로 없게 되기 때문에 좋은 질문을 얻으려고 노력하고 있고 그에 대한 답을 제시하려고 노력합니다. 이번 포스팅의 주제는 접지와 중성선간의 전압에 대한 것입니다. 구글 검색을 해보면 이에 대하여 여러 질문들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What is the acceptable voltage between neutral and earth? 중성선과 접지간에 허용되는 전압은 얼마인가요? Why am I getting vo.. 2023. 12. 6. 도시 지역에서의 접지 저항 측정에 대하여 도시 지역에서 빌딩이 즐비하고 콘크리트로 다 덮인 그런 환경에서는 어떻게 접지 저항을 측정할 수 있을까요? 요즘 제가 궁금해하는 부분입니다. 빌딩 지하에 변전소는 있는데 접지함 내에는 테스트 전극이 연결된 단자가 없으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많은 분들이 접지 저항을 측정하기 힘든 그런 환경에서 일하고 계시는 것을 알게 되고 그런 환경에서는 어떻게 접지 저항을 측정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 궁금하게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이 포스팅에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해 보려고 합니다. 처음부터 완벽한 해결책을 다 제시하기는 어렵겠지만 계속 찾아서 최선의 방법들을 제시해 보려고 합니다. 많은 자료들이 유료라서 이런 자료를 구하는 것도 만만치 않습니다. 여러 지인들을 통해서 구하고 있기 때문에 좀 시간이 지나면 그런 자료들.. 2023. 12. 6.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26 다음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