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52

Transformer No-Loss Mesurement (변압기 무부하손 측정) 1. 변압기 무부하손의 측정 목적 변압기는 모든 부하 조건에 대해 24시간 동안 일정한 전압이 인가되는 한 일정한 무부하 손실을 소비합니다. 사용자는 이 전력 손실에 대해 변압기의 수명 동안 비용을 지불해야 합니다. 제조사는 보통 변압기 무부하 손실의 최댓값을 알려주고 보증합니다. 무부하 손실 측정은 무부하 손실이 제조자에 의해 제시된 값이나 보증된 값을 초과하지 않는지 확인하기 위해 수행됩니다. 2. 평균 전압 전압계 방법 (Average-voltage Voltmeter Method) 종종 코어손이나 철손으로 불리는 변압기 무부하 손실은 정격 전압 및 주파수로 여자 되었지만 부하를 공급하지 않는 변압기의 전력 손실입니다. 무부하손은 다음의 3가지 요소로 구성됩니다. . 코어 자재에서 발생하는 코어손 절.. 2023. 12. 26.
단상과 3상 부하가 함께 포함된 경우의 차단기 용량 산출 단상 부하와 3상 부하가 함께 있는 경우에 메인 차단기의 용량을 선정하는데 어려움이 있습니다. 앞선 포스팅에서 어느 정도 설명을 했지만 여러 가지의 경우에 대해서 설명이 부족했다고 느껴서 여기에 새롭게 포스팅을 추가했습니다. 이 포스팅을 작성하면서 저도 잘못 이해하고 있는 부분이 많았다는 것을 확인하게 되어 앞서 작성한 포스팅도 일부 수정했습니다. 밤을 새워서 열심히 생각하고 자료를 찾아서 정리했습니다.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질문예) 단상부하가 64kW, 3상부하가 38kW 연결되어 있는데 메인 차단기 용량은 얼마로 해야 하나요? ​ 답변) 단상부하가 어떻게 연결되는지가 중요합니다. 단상 부하가 하나의 용량이 64kW라면 (이렇게 크지는 않겠지만 예를 들어서) 전체 용량을 단상 64kW와 3상 3.. 2023. 12. 20.
조명 설계 - 기본 용어 해설 이번 포스팅에서는 조명 설계에 꼭 필요한 조명 용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비슷한 용어들이 많아서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습니다. 기사 공부할 때 참 잘 안 외워지는 부분이었죠. 정의 부분에서는 한글로 쓴 부분은 좀 더 쉬운 이해를 위해 몇 가지 설명을 같이 넣었습니다. Photometric Units 조명 단위 SI unit and calculation 표준 단위와 계산식 Definition 정의 Luminous flux 광속 Lumen (lm) 루멘 The measure for the total amount of light emitted by a light source. 광원으로부터 나오는 모든 빛의 총량, 광원이 빛을 발할 때 발생하는 모든 방향의 빛을 합한 값 Light intensity 광도.. 2023. 12. 19.
변압기의 임피던스 완벽 이해하기 변압기 임피던스는 정격 전류에 대한 전부하 조건에서 변압기 전압 강하의 비로 정의됩니다. 그것은 전류의 흐름에 대한 변압기의 저항을 반영하는 중요한 파라미터입니다. 임피던스는 Ω으로 표현되며 기호 Z로 표시됩니다. 변압기의 임피던스는 구리 권선의 저항과 변압기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리액턴스 때문입니다. 변압기의 자기장의 리액턴스는 전압과 전류 사이에 위상 이동을 일으키는 반면, 권선 저항은 변압기 전체에 전압 강하를 일으킵니다. 변압기의 임피던스는 권선의 턴 수와 코어의 투과율을 포함한 설계에 따라 달라집니다. 변압기의 임피던스는 전력 시스템의 작동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임피던스의 주요 기능 중 하나는 시스템의 고장 전류를 제한하는 것입니다. 단락이 발생하면 변압기의 임피던스가 전류 흐름에 대한 장벽.. 2023. 12. 18.
비율 차동 계전기의 원리와 적용 바이어스 차동 또는 비율 차동이라는 용어는 통과 전류에 따라 동작 임계값이 증가한다는 것에 근거합니다. 따라서, 동일한 위상의 업스트림 전류와 다운스트림 전류를 비교하는 것은 변압기 차동 보호에 있어서 용이하지 않습니다. ​ 비율차동 보호는 고임피던스의 순환 전류보다 오래된 보호 설계입니다. 이 방식은 저압용 변압기를 제외한 2 권선 변압기에 널리 적용됩니다. 1. 기본 원리 1.1 기본 회로도 동작의 기본 형태와 원리는 아래 그림 1에 표현되어 있습니다. 바이어스 차동 계전기는 두 권선으로 구성되는데 하나는 권선수 No를 가진 동작 권선이고 다른 하나는 권선수 Nb를 가진 억제권선 혹은 바이어스 권선입니다. (이후에서는 바이어스 차동 계전기 대신에 비율 차동 계전기라고 씁니다) 이 계전기는 구역 내 고.. 2023. 12. 15.
SPD (Surge Protective Device)의 이해 (2) 1. SPD의 주요 특성 1) 최대 연속 동작 전압 2) 최대 연속 동작 전압의 기준 3) 최대 연속 동작 전압의 표준 값 ​ 4) 전압 보호 레벨 5) 공칭 방전 전류 ​ 2. SPD의 연결 도체 설계 1) SPD 연결 도체의 길이 및 굵기 제한 연결도체의 길이는 주 회로에서 주 접지 단자까지 0.5m 이내로 제한됩니다. 또한 연결도체의 굵기는 1등급에서 16sq, 2등급은 6sq 이상을 사용해야 합니다. (KEC 핸드북에서는 2등급에서 4sq로 설명하지만 이는 KEC 본문 내용이 아니므로 적용할 수 없고 아래의 KS C IEC 규격에 나온 것이 맞는 것으로 보아야 합니다.) 아래 자료 참조 (KS C IEC 60364-5-53) ​ 장비 보호를 위한 필수적인 특성 중 하나는 장비가 단자에서 견딜 수 .. 2023. 12. 14.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