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52

전동기의 와이-델타 (Y-D) 기동 시퀀스 이번 포스팅은 앞선 직입기동 전동기 시퀀스에 이어서 와이-델타 기동 시퀀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Y-D기동은 좀더 복잡하고 어려운데요 잘 이해하면 전기 시퀀스에 대해서 한단계 더 알게해 줍니다. 이번 포스팅은 EEP에서 발행한 여러 시퀀스관련 자료에서 발췌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1. Y-D 기동 회로 - 메인 회로 Y-D 기동 회로를 구성하는 부품은 아래그 그림에 나와 있는것 같이 다음과 같이 구성됩니다. 아래 그림에서 메인 차단기는 생략되고 MC 부터 그려져 있음을 참고 바랍니다. 메인 차단기 (MCCB 혹은 Fused Switch) - 단락 고장 보호용 메인 MC (전자접촉기) 델타 MC 와이 MC 과부하계전기 (메인 MC 아래에 설치) 3개의 MC가 설치되어 있는데요 각 MC의 용량은 아래와 .. 2024. 3. 7.
전동기 직입 기동 회로와 시퀀스 이번 포스팅은 시퀀스를 다루려고 합니다. 회로 및 시퀀스 관련 내용이 너무 없어서 일단 전동기 운전 관련 시퀀스로 몇 가지를 기초적으로 올리려고 합니다. 첫번째는 직입 기동입니다. 영어로 Direct-on-line (DOL)이라고 합니다. 간단하지만 시퀀스의 기본이기도 합니다. 아래 그림을 참조 바랍니다. 물리적인 케이블 연결과 동작 회로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MC의 S 상 위쪽에서 적색 선이 전원선입니다. S 단자에서 나온 선이 Start 버튼에 연결되고 그다음에 Stop 버튼에 연결됩니다. 그 중간에 나온 선이 MC의 보조 접점에 연결되어서 소위 Self Holding 회로를 만듭니다. 그리고 Stop에서 나온 선이 과부하계전기의 접점에 연결되는데 이 접점은 평상시 ON 되어 있는 B 접점입니다. 이.. 2024. 3. 6.
22.9kV 배전 선로의 전자파에 대하여 전자파에 대하 포스팅의 마지막입니다. 많은 신도시들은 배전선로도 지하화했지만 아직도 많은 곳에서 지상에 설치된 22.9kV 배전 선로를 볼 수 있습니다. 과연 22.9kV 배전 선로는 전자파 문제에서 자유로울까요? 1. 한전의 자료 한전 홈페이지에서 전력설비 전자계 노출 현황에 나타난 자료를 카피했습니다. 1G (가우스) = 100 μT (마이크로 테슬라)입니다. 그래서 최대 자계 8.3mG는 0.83 μT가 됩니다. 2. 국내 학술 자료 98년도 전기학회에 발표된 "22.9kV 배전선로 주변의 전장과 자장의 분포"라는 논문에서 발췌한 자료를 보겠습니다. 위의 1회선 그림을 기준으로 측정한 자기장의 밀도는 아래와 같습니다. 최대치가 약 0.23 μT로 보입니다. 각 상의 전류는 아래 표1과 같습니다. 2.. 2024. 3. 5.
3상 4선 시스템에서 중성선이 끊어지면 발생하는 일 이번 포스팅은 3상 4선 시스템에서 중성선이 끊어지면 발생하는 일에 대하여 검토해 보겠습니다. 전기 카페에서 질문이 올라 왔는데 중성선이 끊어졌는데 부하 차단기 (ELB)가 줄줄이 트립 되었고 한 부하는 소손되었다고 합니다. 왜 그런 일이 발생하는지 따져 보도록 하겠습니다. 저전압 3상 4선 네트워크의 중성선이 끊어지는 것은 기기 고장뿐만 아니라 생명을 위협하는 접촉 사고의 가능성이 더욱 중요한 문제입니다. KEC 기준에 따라 설치되는 접지 누설 차단기(ELCB)는 이러한 기기 고장 및 가능한 접촉 사고와 관련된 접지 고장 상태를 해소하기 위해 모든 가정용 배전함에 의도적으로 설치되었습니다. ELCB 설계의 제한으로 인해 이 장치는 중성선이 끊어진 경우에는 작동하지 못하므로 시스템이 위험하고 안전하지 않.. 2024. 3. 4.
지하에 매설된 송전선은 전자파 문제가 없나요? 우연하게 전자파에 대한 주제에 대해서 글을 올리고 있는데요, 초고압 송전선의 전자파에 대해서 검토하다보니 전자파는 전압과 관련이 없고 전류가 얼마나 흐르냐에 좌우되는 것을 보았습니다. 사람들은 막연히 초고압 송전선이니까 전자파가 더 많이 나오는 것 아닌가 싶지만 사실은 아닙니다. 전자파는 전류가 많이 흐르거나 주파수가 높으면 많이 나옵니다. 그래서 통신 기기에서 전자파가 많이 나오게 되는 것이죠. ​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하 공동구에 설치되거나 지하에 매설된 초고압 송전선 (도시 내부)는 문제가 없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1. 케이블의 특징 ​ 지하에 매설되는 경우에는 모두 케이블을 사용하게 됩니다. 이 케이블에는 시스나 스크린으로 불리는 차폐선이 있고 이로인해서 전기장은 외부로 방사되지 않습니다... 2024. 2. 29.
HVDC 초고압 직류 송전선의 전자파는 문제 없나요? 이번 포스팅은 앞선 HVAC 송전선의 전자파에 이어 HVDC 즉 초고압 직류 송전선의 전자파는 어떤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반적으로 직류 송전선은 교류 송전선에 비해서 전자파의 피해가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전기장 및 자기장(EMF)은 우리의 자연(예를 들어, 지구)과 전기화된 환경(예를 들어, 마이크로파)의 일부이며 전기가 흐르는 곳마다 존재합니다. 고전압 직류(HVDC) 및 고전압 교류(HVAC) 전송 라인은 서로 다른 유형의 EMF를 생성하는데 이는 일반 가정용 기기에서도 생산되며 비이온화 전자파입니다(즉, 영향력이 없기 때문에 무해한 것으로 간주됨). 전송 라인에 의해 생성되는 EMF는 도체 바로 아래에서 가장 높고 라인과의 거리에 따라 극적으로 소멸됩니다. 사진 출처:https://w.. 2024. 2. 28.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