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52

초고압 교류 송전선에서 나오는 전자파의 위험성 이번 포스팅의 주제는 아주 민감한 사안인데요 바로 전자파에 대한 내용입니다. 초고압 송전선로의 건설이 아주 중요한 국책 과제가 되고 또 엄청난 민원의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간단하게나마 이 부분에 대해서 현재까지 나온 자료들을 기준으로 한번 체크해 보려고 합니다. 1. ChatGPT의 설명 먼저 ChatGPT에 물어보았습니다. AI가 대세이니까 어떻게 설명하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1) 질문: 초고압 송전선로의 전자파에 대한 위험성에 대해서 알려줘 ChatGPT 답변: 초고압(Extra high voltage, EHV) 송전선은 전압이 345 kV 이상인 선으로, 장거리를 통해 대량의 전기를 송전하는 데 중요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송전선은 전기가 전선을 통해 흐르면서 전자기장(EMF)을 방출합니다. EH.. 2024. 2. 23.
HVDC 송전의 기초 이번에 제가 취업을 하게 되었는데요, 담당할 프로젝트가 HVDC송전 프로젝트라고 해서 공부삼아 HVDC송전에 대한 포스팅을 하게 되었습니다. 기초부터 가능한 부분까지 한번 다루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정의 (Definition) 고전압 직류 전송, 약칭 HVDC는 교류로 동작하는 HVAC 전력 시스템과 대조적으로 전기 전송을 위해 직류를 사용하는 대용량 전력 전송 기술입니다. HVDC에 자주 사용되는 전기 이름은 Superhighway 또는 Power Superhighway입니다. 교류 송전에서는 전압과 전류의 방향이 지속적으로 변하여 선로에 과열이 발생하여 전력 손실이 크게 발생합니다. 교류 송전과 달리 직류 송전에서는 전류와 전압이 한 방향으로만 흐릅니다. 따라서 HVAC를 HVDC로 변환하면 전.. 2024. 2. 12.
방향성 계전기의 적용 방법 이번 포스팅은 앞서의 방향성 계전기 동작 원리에 이어서 실제 적용 방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방향성 계전기의 적용법이 4가지가 있는데 다음과 같습니다. 1. 병렬 회선의 보호 (Protection of Parallel lines) 2. 폐루프 보호 (Protection of closed loop) 3. 지락 방향성 보호 (Protection of directional earth fault) 4. 전력 계전기 (Power relay) 1. 병렬 회선의 보호 (Protection of Parallel lines) 여러 회선을 사용하면 전력 가용성이 향상됩니다. 즉, 여러 회선을 병렬로 사용하면 주어진 위치에 더 많은 전력을 전달할 수 있습니다. 두 개의 병렬연결된 회선은 폐쇄된 링의 가장 단순하고 빈번하게 발.. 2024. 2. 7.
방향성 계전기의 동작 원리와 특성 각도 이번 포스팅에서는 앞선 포스팅에서 설명한 방향성 계전기의 개념에 이어서 동작 원리에 대해서 다루어 보겠습니다. 방향성 계전기에 대한 자료에서 필요한 부분을 발췌하여 하나씩 설명드리고 있습니다. 1. 동작 원리 (Principal of Operation) 방향성 계전기는 어떻게 작동합니까? 배전 네트워크가 AC 네트워크이고 전류의 방향은 계속해서 변한다는 것을 염두에 두고서 계전기는 전류의 흐름 방향을 어떻게 인식합니까? 이에 대한 해결책은 AC 전력망에서 전류 흐름의 방향은 회로의 임의의 주어진 지점에서 전압 E와 전류 I 사이의 위상 이동으로부터 결정된다는 것입니다. 이는 그림 3의 도움으로 설명될 것입니다. 회로에서 전류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흐를 때 전압과 전류 간 위상 변이의 절대값이 90° 이하.. 2024. 2. 6.
4가지 배전 시스템 개요 오늘은 주로 사용되는 4가지의 배전 시스템에 대한 내용입니다. 단선도에 대한 포스팅이 그동안 없었는데 이번에 간단하지만 유용한 자료가 있어서 올려 보려고 합니다. 오늘날 적용되는 가장 일반적인 4가지 배전 시스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여러가지 변형된 형태들이 있지만 기본적인 형태에 집중하도록 하겠습니다. 각 배전 시스템이 왜 사용되는지, 어디에서 사용되는지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이는 여러분이 무엇을 하든(2차 변전소 설계, 2차 SWGR나 변압기 테스트 수행 또는 계획 등) 첫 번째로 알아야 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목차 Radial system Parallel Feeders Ring Main Meshed system 1. Radial system (방사형 시스템) 많은 배전 시스템은 방사형 피.. 2024. 2. 5.
개별 전동기용 역률 보상 커패시터 설치 회로 전기 전문 블로그 "전기만 33년"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개별 전동기의 역률 보상을 위해 설치하는 커패시터를 어떤 방식으로 설치해야 하는지를 검토해 보겠습니다. 많은 경우 커패시터만 단독으로 모터 회로에 연결하는데 이것이 합리적인 것인지 따져보고 또한 차단기나 전자 접촉기가 커패시터로 인한 돌입전류의 영향으로부터 문제가 없는지 확인해 보려고 합니다. ​ 1. 커패시터 설치의 기본 회로 아래 그림에는 모터 개별 보상을 위한 커패시터 회로의 일반적인 배치가 나와 있습니다. 사용된 기기는 한류형 퓨즈와 돌입전류 방지용 리액터와 커패시터가 있습니다. ​ 모터 퓨즈(또는 기타 보호 장치)는 모터 정격 전류의 3-7배인 기동 전류에 견딜 수 있는 정격입니다. 이 퓨즈들은 커패시터 장치를 보호하지 못합니다. ​ .. 2024. 1. 31.
300x250